600만원을 납부하면 연간 최대 240만원의 연말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청년소득공제기금이 있나요? 청년공동기금 개요

청년공동기금 개요

소득공제와 환급을 한번에 기대할 자금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까?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 연기금이나 ISA와 같은 세금공제 상품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장 큰 혜택으로 청년공동기금요약하겠습니다.

1.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만 가입 가능

2. 연간 최대 240만원 소득공제 혜택

3. 2023년 올해까지만 가능

매달 50만원씩 600만원 입금하면 환급액은?

최대 공제금액인 600만원까지 입금하면 연말정산시 환급되는 금액은? 1년에 396,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연봉이 4,600만원 미만인 경우)

예치금의 40% 환급 가능하며, 600만원의 40% 또는 240만원 환급이 가능합니다. 1인당 240만원씩 최대 5년간 계산하면 총 1200만원 상당의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단, 급여총액이 8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총수입금액이 6700만원을 초과하고 해당 과세기간의 근로소득 또는 종합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의무기간 3년 이내라도 펀드 해지 시 6.6%(지방소득세 포함)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3년은 해지 안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렇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돈보다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저축과 달리 3년 후에 펀드를 해지해도 돈이 계속 들어오기 때문에 기간이 정말 좋습니다. 최소 30년 동안 연금을 취소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년 동안 혜택을 받고 펀드 수익률을 기대하기 때문에 아주 좋은 혜택입니다.

연봉이 4600만원 이하면 최대 16.5%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 16.5% 환급액 396,000원당신은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수학을하겠습니다.

예)
– 연봉 4600만원
– 만 30세(만 34세 미만)
– 월 50만원 x 12개월 = 600만원
– 600만원 x 40% = 240만원 (납입자본금에서 소득공제 40%)
– 240만원 x 16.5% = 396,000원
(연봉 1,200만 원~4,600만 원 사이에서 최고 세율 16.5%가 됨) 적용된

실제로 지급한 금액의 6.6%(39만6000원)의 수익 효과가 있는 원천이다.

월급이 오르고 오르면?

예)
– 연봉 6000만원
– 만 30세(만 34세 미만)
– 월 50만원 x 12개월 = 600만원
– 600만원 x 40% = 240만원 (납입자본금에서 소득공제 40%)
– 240만원 x 26.4% = 633,600원
(연봉 4,600만~8,800만원에 최고 세율 26.4% 적용 가정)

실제 지급한 금액의 10.56%(633,600원) 수익성은 급여가 오르면 환급도 늘어나니 급여가 높을수록 혜택이 좋아지죠?

2023년까지만 등록이 가능한가요?

청년공동기금 등록은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능합니다. 은행을 보면 가능한 부분이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타뱅킹 등록은 09:00부터 21:00까지 가능합니다.

자신의 투자 분석을 통해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펀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3년 동안 서비스를 받아야 합니다. 3년 이내에 취소하면 추가 세금이 적용됩니다. 할증은 6.6%의 세제혜택의 일부를 지급하는 상품으로 경영실적에 따라 이익이 변동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나 펀드상품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원금은 보장되지 않습니다.